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건강정보

편도결석: 양치를 해도 입냄새가 난다면?

by 킴스라이프 2023. 4. 20.
반응형

 

어느날 기침을 했는데 노란 알갱이가 튀어나왔다면, 그것은 밥풀이 아닙니다.

'편도결석' 이라 불리는 냄새나는 녀석입니다.

아무리 양치를 해도 입냄새가 나는 것 같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편도결석의 원인과 제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편도결석이란?

편도결석은 편도 안에 있는 석자균(석회화학물질)이 쌓여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편도는 목의 중앙에 위치한 작은 덩어리로, 석자균이 쌓여서 편도가 축적되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편도결석의 증상

편도결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의 통증 혹은 불편한 느낌
  • 열,
  • 인후통
  • 구강 내에서 냄새 등

일부 환자는 먹을 때나 말할 때 통증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3. 편도결석 제거하는 법

  • 집에서 제거할 시: 유튜브에 'Tonsil stone'을 검색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편도결석을 셀프 제거하는 영상들을 볼 수 있습니다만 이것은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옳은 방법은 아닙니다. 면봉이나 펜 등 길쭉한 물체를 이용해 편도를 눌러 내부의 편도결석을 빼내는 방법은 영구적인 치료법이 아닐 뿐 더러 2차 감염의 위험까지 있습니다. 따라서 집에서 셀프제거를 하고 싶을 땐 가글을 하거나, 워터픽을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깔끔하게 제거되지는 않더라도 위생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병원 방문: 편도결석이 생겼을 때는 이비인후과를 방문 학시는 것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편도결석은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항생제로 치료할 경우, 석자균을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석자균 자체는 사라지지 않으므로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을 진행하여 편도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입니다.

4. 편도결석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편도결석은일반적으로 위생 관리가 부족한 사람이나, 흡연을 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깨끗한 생활 습관과 흡연을 자제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